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보 그리고 GoodFellas256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계획(ft.2024학년도 수능 기본계획) 고교학점제 학생들이 진로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 이수하고, 누적 학점이 기준에 도달할 경우 졸업을 인정받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는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동일한 과목을 공부하는 현 교육체계에서 탈피, 대학생처럼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따라 시간표를 짤 수 있도록 선택권을 넓혀주기 위한 취지로 시행됩니다. 고교학점제는 2020년 마이스터고에 우선 도입된 뒤 2022년에는 특성화고. 일반고 등에 부분 도입하고, 2025년 전체 고교에 전면 시행됩니다. 2021년 : 고교학점제 제도 기반 마련 2021년에는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해 법령과 지침을 정비하게 되는데, 하반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부분 개정에 착수해 수업량 적정화 등 학점제 단계적 도입 내용을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고교 수업량.. 2021. 11. 16.
글로벌 혁신지수(ft.한국, 아시아 국가 중 1위) 글로벌 혁신지수란? Global Innovation Index. 미국 코넬대와 유럽 경영원, 세계지식재산기구가 공동으로 각 국가의 혁신역량을 평가하는 지표로, 2007년부터 매년 발표하고 있습니다. 조사 대상국의 제도, 인적자본과 연구, 인프라, 시장성숙도, 기업 성숙도, 지식. 기술 성과, 창조적 성과 등 7대 부문과 하위 21개 항목, 81개 세부지표를 평가해서 순위를 매깁니다. 한국, 전세계 132개 조사 대상국 중 5위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가 지난 9월 20일에 발표한 글로벌 혁신지수(GII)에서 한국이 132개 조사 대상국 중 5위를 기록했습니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싱가포르, 중국, 일본을 제치고 1위에 올랐습니다. 이번 평가에서는 스위스, 스웨덴, 미국, 영국이 1위부터 4위까지 차.. 2021. 11. 16.
6월29일은 무슨날? (ft. 6.29 민주화 선언) 6.29 민주화 선언을 하기까지.. 1987년 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한민국은 민주화로 뜨거웠습니다. 1987년 1월에 발생했던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4월에 전두환 대통령의 4.13 호헌조치 발표 등이 연이어 터지면서,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진상 규명과, 직선제 개헌을 외치며 거리로 나섰습니다. 6월 10일 국민대회를 앞두고, 대학에서 열린 출정식에 참여했던 이한열 열사가 최루탄에 맞아 혼수상태에 빠지면서, 민주화의 요구는 전국적인 규모로 번지게 됩니다. 이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6월 민주 항쟁이 전개되기 시작했습니다. 6월 18일에는 최루탄추방대회가 열렸습니다. 이때 전국 16개 직역에서 약 50여만 명이 참여했습니다. 6월 19일 전두환은 군 고위 관계자를 소집해서 비상조.. 2021. 11. 16.
2월8일은 무슨날?(ft. 2.8독립선언, 민족자결주의) 2.8 독립선언 "모든 조선청년독립단은 우리 이천만 조선 민족을 대표하여 정의와 자유의 승리를 얻은 세계 만국 앞에 독립을 선언한다." 1919년, 일본 도쿄에서 한국인 유학생 600여 명이 조국 독립과 항일투쟁의 의지를 세계에 선포한 날입니다.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의 전후 처리를 위해 열린 파리 강화 회의에서 미국의 윌슨 대통령은 '민족자결주의'를 주장합니다. 비록 패전국의 식민지에만 적용되는 '민족자결주의'였지만, 승전국 일본의 식민지 백성이었던 도쿄의 유학생들은 미국 대통령의 말을 듣고, 희망을 가지고 행동하기 시작합니다. 민족자결주의(National self-determination) : 각 민족은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을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 2021. 11. 16.
2월28일은 무슨날? (ft. 민주운동의 유래, 3.15부정선거) 2.28 민주운동 1960년 3.15 부정선거 직전에, 2월 28일 대구에서 고등학생들이 중심이 돼서 부패한 자유당 정권에 맞서 싸우기 위해 시작됐던 민주운동입니다. 이승만 독재정권과 함께 자유가 억압됐었던 당시, 자유를 되찾기 위한 목적으로 학생들이 거리로 나왔던 날입니다. 대구시민들의 시대정신을 담은 역사적 의거입니다. 2.28 민주운동은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주의 혁명인 4.19 혁명의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2018년 2월 28일 국가기념일로 지정이 되었습니다. 3.15 부정선거 1960년 3월 15일 부정 선거에 의해 실시된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와 대한민국 제5대 부통령 선거를 말합니다. 당시 이승만 자유당 후보와 조병옥 민주당 후보만 선거에 출마하였는데, 이는 자유당 측에서 공권력과 이정재.. 2021. 11. 15.
12월 3일은 무슨날일까?(ft.소비자의 날) 소비자의 날 공정거래위원회 주관으로 소비자의 권리의식을 신장시키고 소비자보호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기 위한 행사를 개최하는 대한민국의 기념일입니다. 1979년 12월 3일에 소비자보호법이 국회를 통과되자, 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에서 이날을 기념하기 위해서 매년 행사를 개최해 왔습니다. 올해로 26회를 맞이하게 됩니다. 법정기념일로 재정 1997년에 소비자의 권리의식을 신장시키고, 소비자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 법정기념일로 재정이 되었습니다. 소비자의 8가지 기본권리 안전할 권리 알 권리 선택할 권리 의견을 반영할 권리 보상받을 권리 소비자 교육을 받을 권리 단체를 조직하고 활동할 권리 쾌적한 환경에서 살권리 공정한 거래를 위해 행동할 책임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상품의 가격과 품질이 적당한지 생각해.. 2021. 11. 12.
2021년 노벨상은 누구?(Ft.한국 역대 수상자는?) 노벨상 노벨상은 다이너마이트 발명가인 스웨덴의 알프레드 노벨이 1895년 작성한 유언에 따라서 매년 인류의 문명 발달에 학문적으로 기여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상입니다. 노벨상 분야 총 6개의 상이 있습니다. 1901년부터 수여되었고, 경제학상만 1968년부터 생겼습니다. 노벨 평화상 노벨 문학상 노벨 생리의학상 노벨 물리학상 노벨 화학상 노벨 경제학상 2021년 노벨상 수상자와 업적 평화상 : 마리아 레사(필리핀), 드미트리 무라토프(러시아) - 민주주의와 영구적 평화의 전제조건인 표현의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노력 문학상 : 압둘라자크 구르나(탄자니아) - 문화와 대륙 간 차이에 놓인 난민의 운명과 식민주의의 영향을 단호하고도 연민 어린 시선으로 통찰 생리의학상 : 데이비드 줄리어스(미국), 아뎀 파타푸티.. 2021. 11. 12.
옥스퍼드영어사전 '한류[hallyu]등 우리말 26개' 추가 옥스퍼드 영어사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간하는 영어사전입니다. 1884년에 인쇄 제본형 표준판이 부분적으로 나오기 시작했고, 1928년 초판이 완성되었으며, 온라인 사전 초판은 2000년에 처음 나왔습니다. 3개월에 한 번씩 어휘를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OED에 처음 등재된 우리말은? 1976년 처음으로 김치, 막걸리 등이 실렸습니다. 한류[hallyu]등 26개 추가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출간하는 옥스퍼드 영어사전(OED)이 지난 9월 사전을 개정하면서 한국 단어 26개를 추가했습니다. 옥스퍼드 영어사전은 영어권에서 가장 권위 있는 사전으로 꼽힙니다. 이번에 추가된 우리말입니다. dongchimi 동치미 japchae 잡채 galbi 갈비 hallyu 한류 bulgogi 불고기 kimbap.. 2021. 11. 12.
12월 25일 크리스마스(성탄절)의 유래는? 12월 25일 기독교의 창시자인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기념일로, 성탄일 혹은 크리스마스라고 합니다. 근데, 12월 25일이 '예수의 탄생일'이 맞을까요? 크리스마스의 유래와 함께,크리스마스이브, 산타클로스, 루돌프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정리해봤습니다. 크리스마스(성탄절) Christmas = 그리스도(Christ) + 미사(Mass) 그리스도와 미사를 합쳐진 말이 '크리스마스'입니다. 여기서 미사는 로마 카톨릭 교회의 제사를 뜻합니다. 천주교를 다니시면, 가장 많이 듣게 되는 단어 중에 하나이지요. -> 미사 대신 모임의 뜻인 'masse'라는 단어가 합쳐졌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학계에서는 예수가 실제로 언제 태어났는지 아무도 모른다는게 정설입니다. 신약성서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에 대해서는 기록되어.. 2021. 11. 11.
핏포 55 : 탄소국경세 도입. 우리나라에는 어떤영향? EU집행위원회는 지난 7월 14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입법 패키지 '핏포55'를 발표했습니다. 핏포 55(Fit for 55) 2030년까지 EU의 평균 탄소 배출량을 1990년의 55% 수준까지 줄인다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안입니다. 다음과 같은 방안등이 포함되었습니다. 탄소국경세 도입 2035년부터 EU 내 신규 휘발유. 디젤 차량 판매 금지 교통. 건설부문 탄소 비용 부과 등의 방안 이 중에서 핵심은, 탄소국경세로 불리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으로, EU 역내로 수입되는 제품 가운데 역내 제품보다 탄소배출이 많은 제품에 세금을 부과하는 조치를 말합니다. CBAM은 2026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될 예정인데, 대상은 철강. 시멘트. 비료. 알루미늄. 전기 등입니다. 탄소국경세(Carbon.. 2021. 1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