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부 with 굿펠라스/속담21

우둔함/실수와 관련된 속담(어리석음, 생각없이 행동 등) 1.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일이 이미 벌어진 뒤에야 수습하려 한다.(= 뒤늦은 후회, 사전 대비의 중요성)2. 빈 수레가 요란하다→ 실속 없는 사람이 더 떠들어댄다.(= 아는 척하면서 실속이 없는 사람 풍자)3. 가는 날이 장날이다→ 하필 그런 날 그런 일이 겹쳐서 실수하거나 당황스러운 일이 생긴다.(= 타이밍 안 좋을 때의 어이없는 상황)4.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윗사람이 잘못하면 아랫사람도 따라 실수한다.(= 책임 있는 위치의 영향력 강조)5.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아무 상관없는 일이 우연히 겹쳐 오해를 산다.(= 억울한 실수, 해명 어려움)6. 누워서 침 뱉기→ 남을 해치려다 결국 자신이 손해 본다.(= 어리석은 행동의 결과)7.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어릴 때의 잘못된 습관.. 2025. 4. 14.
정의/도덕과 관련된 속담(올바름,진실,선악,양심 등) 1.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모든 일은 한 만큼 결과가 따라온다.(= 인과응보, 정직한 결과)2.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아무리 절망적인 상황이라도 희망은 있다.(= 정의는 결국 살아있다는 의미로도 해석됨)3.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 한 번 잘못된 경험 때문에 과하게 경계한다.(= 경계심 + 경험의 교훈 / 도덕적으로도 신중함 강조)4. 잘되면 제 탓, 못되면 조상 탓→ 잘못은 남 탓하고, 성공은 자기 공으로 돌린다.(= 공정하지 못한 태도에 대한 비판)5. 도둑이 제 발 저린다→ 나쁜 짓을 한 사람은 스스로 불안해한다.(= 양심의 가책)6. 정직은 최선의 방책이다→ 솔직하고 올곧게 사는 것이 결국 가장 좋은 길이다.(= 영어 속담 "Honesty .. 2025. 4. 14.
생활의 지혜와 관련된 속담(시행착오, 관찰, 인생 교훈 등) 1.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일이 벌어진 후에야 수습하려 든다.(=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교훈)2.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확실한 일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조심해야 한다.(= 신중함의 중요성)3. 백문이 불여일견→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직접 보는 것이 낫다.(= 경험의 힘)4.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 작은 문제를 방치하면 더 큰 문제로 번진다.(= 초기 대응의 중요성)5. 발 없는 말이 천 리 간다→ 말은 빠르게 퍼지니 조심해서 말해야 한다.(= 말조심, 소문 관리)6. 급할수록 돌아가라→ 서두를수록 오히려 천천히 정확하게 하는 게 좋다.(= 성급함보다 침착함 강조)7. 누워서 떡 먹기→ 매우 쉬운 일을 비유함.(= 간단하고 쉬운 상황 설명)8.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2025. 4. 14.
인간관계와 관련된 속담 (정, 예의, 갈등, 믿음 등) 1.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남에게 좋은 말을 해야, 그 사람도 나에게 좋은 말을 한다.(= 말 한마디로 관계가 달라진다.)2. 가는 정이 있어야 오는 정이 있다→ 내가 먼저 정을 줘야 상대도 나에게 정을 준다.(= 상호작용과 배려의 중요성)3. 도둑이 제 발 저린다→ 잘못한 사람이 스스로 불안해하고 티가 난다.(= 양심과 행동의 관계)4.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믿었던 사람에게 배신당한다.(= 신뢰와 배신의 관계)5.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여러 사람이 간섭하면 일이 제대로 안 된다.(= 협업 시 조율의 중요성)6.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 언젠가는 꼭 다시 만나게 되어 있다.(= 인간관계는 좁고, 악연도 피하기 어렵다는 뜻)7. 등잔 밑이 어둡다→ 가까운 사람이나 일은.. 2025. 4. 14.
동물과 관련된 속담 1. 호랑이 굴에 가야 호랑이를 잡는다→ 큰일을 하려면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용기와 도전의 중요성)2.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 잘나간다고 옛날 어려웠던 시절을 잊는다.(= 겸손의 필요성)3.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민다→ 나쁜 짓을 하고도 발뺌하려 한다.(= 거짓말이나 책임 회피)4.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강한 자들 사이의 다툼에 약한 자가 피해를 본다.5. 쥐구멍에도 볕 들 날 있다→ 아무리 힘들어도 언젠가는 좋은 날이 온다.(= 희망을 잃지 말라는 말)6.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아무 관련 없는 일이 우연히 겹쳐 의심을 받는다.(= 억울한 상황)7.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이익이 있을 때만 따르고, 불리하면 버린다.(= 자기 이익만 따지는 태도 비판, 돼지 비유와 함께 .. 2025. 4. 14.
노력 그리고 성실과 관련된 속담 1. 공든 탑이 무너지랴→ 정성을 다해 한 일은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꾸준히 노력하면 좋은 결과가 있다.)2.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아무리 먼 길도 작은 시작이 있어야 간다.(= 시작의 중요성과 끈기 강조.)3. 개천에서 용 난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큰 인물이 나올 수 있다.(= 노력으로 환경을 극복할 수 있다는 뜻.)4. 가는 날이 장날이다→ 우연히 한 행동이 뜻밖의 기회나 결과로 이어진다.(= 노력과 타이밍이 만나면 더 큰 효과가 있을 수도 있음.)5. 수고 끝에 낙이 온다→ 고생한 뒤에야 즐거움이 찾아온다.(= 노력의 결실을 강조.)6. 싼 게 비지떡→ 정성 없이 값싸게 처리한 일은 품질이 떨어진다.(= 노력과 품질은 비례한다는 의미.)7. 가는 정이 있어야 오는 정이 있다→ 성실하게 대.. 2025. 4. 14.
“부(富)와 재물”과 관련된 속담 1. 티끌 모아 태산→ 아주 작은 것도 계속 모이면 큰 것이 된다.(= 작은 돈도 아끼고 모으면 큰돈이 된다.)2.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 작은 비용이나 노력으로 해결할 일을 제때 하지 않아, 더 큰 손해를 본다.(= 초기에 조금만 신경 쓰면 되는 걸 방치하면 큰돈이 든다는 뜻.)3. 하늘에서 돈이 떨어지지 않는다→ 노력 없이 부를 얻을 수는 없다.(= 현실적인 태도 강조.)4. 있을 때 잘해라→ 있을 때 아끼고 잘 써야 후회하지 않는다.(= 돈이나 자원이 있을 때 함부로 쓰지 말고 잘 관리하라는 뜻.)5.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번 돈이라도, 쓸 때는 격식 있고 품위 있게 써야 한다.6. 금강산도 식후경→ 아무리 좋은 것도 경제적 여유(기본 생계)가 우선이다.. 2025. 4. 13.
'ㄱ'으로 시작하는 속담 정리(2탄) ① 개 꼬리 삼 년 묵어도 황모 되지 않는다. : 황모는 옛날에 붓을 만들던 족제비 털을 말합니다. 개 꼬리는 아무리 시간이 오래 지나도 붓을 만들 수 있는 족제비 털이 될 수 없다는 말로, 사람도 근본이 좋지 않은 사람은 아무리 오랜 세월이 흘러도 훌륭한 사람이 되기가 쉽지 않다는 뜻입니다. ② 개 핥은 죽사발 같다. : 개가 사발에 담긴 죽을 하나도 남김없이 말끔하게 비운 것과 같다는 말입니다. 음식을 깨끗하게 다 먹어 치웠을 때 또는 남자 얼굴치고는 너무 미끈하게 잘 빠졌을 때 이런 말을 씁니다. ③ 게으른 놈과 거지는 사촌이다. : 게으른 사람보고 나중에 거지처럼 깡통 차겠다고 합니다. 게을러 제 할일을 하지 않으면 가난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④ 곤장을 메고 매 맞으러 간다. : 자기가 맞을 곤장.. 2021. 11. 2.
'ㅎ'으로 시작하는 속담 정리 ①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 : 한 부분만 보아도 전체를 미루어 헤아릴 수 있음을 뜻하는 말. ② 하루 가다 보면 소도 보고 말도 본다. : 세상을 살다 보면 이런 꼴도 보고 저런 꼴도 본다는 말. ③ 하루 죽은 줄은 모르고, 열흘 살 줄만 안다. : 사람의 목숨은 언제 죽을지 모르는 것, 그러나 욕심이 많은 사람을 평생 살 것처럼 남에게 인색하고 혹독하게 군다는 말. ④ 한 달이 크면 한 달이 작다. : 세상일은 돌고 도는 것이어서 좋은 일이 있으면 나쁜 일이 있으니 현재의 상황이 괴로운 사람은 좋은 날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현재의 상황이 행복한 사람은 불행한 때를 염두에 두라는 말. ⑤ 한 부모는 열 자식을 거느려도 열 자식은 한 부모를 못 모신다. : 자식의 부모에 대한 정이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는.. 2021. 9. 28.
'ㅍ'으로 시작하는 속담 정리 ① 팔이 들이굽지 내굽나. : 가까운 사람에게 인정이 더 쏠리는 것은 모든 사람의 마음이라는 것. ② 팔도를 무른 메주 밟듯하다. : 전국 방방곡곡을 두루 다녔다는 말. ③ 팥으로 메주를 쑨 대도 곧이듣는다. : 지나치게 남의 말을 잘 믿음을 이르는 말. ④ 패랭이에 숟가락 꽂고 산다. : 떠돌아 다니는 불안한 살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⑤ 풀 방구리에 쥐 드나들 듯한다. : 자주 들락날락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⑥ 풀 끝에 앉은 새. : 안심이 안 되고 불안한 처지에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⑦ 풀베기 싫은 놈이 단수만 센다. : 하던 일이 싫증나서 해 놓은 성과만 헤아리고 있음을 비꼬아 이르는 말. ⑧ 품 속에 들어온 새는 잡지 않는다. : 자신에게 항복해 온 사람은 해치지 않는다는 뜻. ⑨ .. 2021. 9.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