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부 with 굿펠라스321

2.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학습하기 쉬운 영어 패턴 1. 인사 및 소개Hi, my name is [이름]. -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이름]입니다.How are you? - 어떻게 지내세요?I'm good, thank you! - 잘 지내요, 감사합니다.I'm fine, thanks! - 괜찮아요, 고마워요!2. 자주 쓰는 질문들What is your name? - 당신의 이름은 무엇인가요?Where are you from? - 어디서 오셨어요?What do you do? - 무슨 일을 하세요?3. 감사 및 사과 표현Thank you! - 감사합니다!You're welcome. - 천만에요.I'm sorry. - 죄송해요.It's okay. - 괜찮아요.4. 일상 대화What time is it? - 지금 몇 시인가요?Can you help me? - .. 2025. 4. 15.
우둔함/실수와 관련된 속담(어리석음, 생각없이 행동 등) 1.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일이 이미 벌어진 뒤에야 수습하려 한다.(= 뒤늦은 후회, 사전 대비의 중요성)2. 빈 수레가 요란하다→ 실속 없는 사람이 더 떠들어댄다.(= 아는 척하면서 실속이 없는 사람 풍자)3. 가는 날이 장날이다→ 하필 그런 날 그런 일이 겹쳐서 실수하거나 당황스러운 일이 생긴다.(= 타이밍 안 좋을 때의 어이없는 상황)4.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윗사람이 잘못하면 아랫사람도 따라 실수한다.(= 책임 있는 위치의 영향력 강조)5.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아무 상관없는 일이 우연히 겹쳐 오해를 산다.(= 억울한 실수, 해명 어려움)6. 누워서 침 뱉기→ 남을 해치려다 결국 자신이 손해 본다.(= 어리석은 행동의 결과)7.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어릴 때의 잘못된 습관.. 2025. 4. 14.
정의/도덕과 관련된 속담(올바름,진실,선악,양심 등) 1.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모든 일은 한 만큼 결과가 따라온다.(= 인과응보, 정직한 결과)2.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아무리 절망적인 상황이라도 희망은 있다.(= 정의는 결국 살아있다는 의미로도 해석됨)3.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 한 번 잘못된 경험 때문에 과하게 경계한다.(= 경계심 + 경험의 교훈 / 도덕적으로도 신중함 강조)4. 잘되면 제 탓, 못되면 조상 탓→ 잘못은 남 탓하고, 성공은 자기 공으로 돌린다.(= 공정하지 못한 태도에 대한 비판)5. 도둑이 제 발 저린다→ 나쁜 짓을 한 사람은 스스로 불안해한다.(= 양심의 가책)6. 정직은 최선의 방책이다→ 솔직하고 올곧게 사는 것이 결국 가장 좋은 길이다.(= 영어 속담 "Honesty .. 2025. 4. 14.
2025년 6월 3일 대권주자들의 주요 핵심공약 정리(대권주자, 개헌의 뜻 설명) 대권주자란?✔️ 뜻“대통령이 되려는 사람, 혹은 대통령 후보로 유력한 인물”을 말해요."대권" = 대통령 권력"주자" = 그걸 두고 달리는 사람 (경쟁자)즉, 다음 대통령 선거를 준비하거나 유력하게 거론되는 인물들을 "대권주자"라고 부릅니다.🗳️ 예시정치인 ○○○가 지지율 1위다 → 유력한 대권주자누군가 출마 선언을 하면 → 대권주자 대열에 합류🏛️ 개헌이란?✔️ 뜻"헌법을 바꾸는 것", 즉 헌법(나라의 가장 기본적인 법)을 개정하는 거예요."개" = 고치다"헌" = 헌법 우리나라 헌법은 1948년 제정 이후, 총 9차례 개정됐고, 마지막 개헌은 1987년 민주화 이후입니다. 그 이후로 지금까지 38년간 한 번도 개헌이 없었습니다. 🧩 개헌이 왜 나오는 거야?최근 정치권에서는 개헌 논의가 다시 뜨겁.. 2025. 4. 14.
생활의 지혜와 관련된 속담(시행착오, 관찰, 인생 교훈 등) 1.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일이 벌어진 후에야 수습하려 든다.(=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교훈)2.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확실한 일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조심해야 한다.(= 신중함의 중요성)3. 백문이 불여일견→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직접 보는 것이 낫다.(= 경험의 힘)4.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 작은 문제를 방치하면 더 큰 문제로 번진다.(= 초기 대응의 중요성)5. 발 없는 말이 천 리 간다→ 말은 빠르게 퍼지니 조심해서 말해야 한다.(= 말조심, 소문 관리)6. 급할수록 돌아가라→ 서두를수록 오히려 천천히 정확하게 하는 게 좋다.(= 성급함보다 침착함 강조)7. 누워서 떡 먹기→ 매우 쉬운 일을 비유함.(= 간단하고 쉬운 상황 설명)8.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2025. 4. 14.
인간관계와 관련된 속담 (정, 예의, 갈등, 믿음 등) 1.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남에게 좋은 말을 해야, 그 사람도 나에게 좋은 말을 한다.(= 말 한마디로 관계가 달라진다.)2. 가는 정이 있어야 오는 정이 있다→ 내가 먼저 정을 줘야 상대도 나에게 정을 준다.(= 상호작용과 배려의 중요성)3. 도둑이 제 발 저린다→ 잘못한 사람이 스스로 불안해하고 티가 난다.(= 양심과 행동의 관계)4.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믿었던 사람에게 배신당한다.(= 신뢰와 배신의 관계)5.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여러 사람이 간섭하면 일이 제대로 안 된다.(= 협업 시 조율의 중요성)6.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 언젠가는 꼭 다시 만나게 되어 있다.(= 인간관계는 좁고, 악연도 피하기 어렵다는 뜻)7. 등잔 밑이 어둡다→ 가까운 사람이나 일은.. 2025. 4. 14.
동물과 관련된 속담 1. 호랑이 굴에 가야 호랑이를 잡는다→ 큰일을 하려면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용기와 도전의 중요성)2.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 잘나간다고 옛날 어려웠던 시절을 잊는다.(= 겸손의 필요성)3.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민다→ 나쁜 짓을 하고도 발뺌하려 한다.(= 거짓말이나 책임 회피)4.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강한 자들 사이의 다툼에 약한 자가 피해를 본다.5. 쥐구멍에도 볕 들 날 있다→ 아무리 힘들어도 언젠가는 좋은 날이 온다.(= 희망을 잃지 말라는 말)6.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아무 관련 없는 일이 우연히 겹쳐 의심을 받는다.(= 억울한 상황)7.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이익이 있을 때만 따르고, 불리하면 버린다.(= 자기 이익만 따지는 태도 비판, 돼지 비유와 함께 .. 2025. 4. 14.
노력 그리고 성실과 관련된 속담 1. 공든 탑이 무너지랴→ 정성을 다해 한 일은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꾸준히 노력하면 좋은 결과가 있다.)2.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아무리 먼 길도 작은 시작이 있어야 간다.(= 시작의 중요성과 끈기 강조.)3. 개천에서 용 난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큰 인물이 나올 수 있다.(= 노력으로 환경을 극복할 수 있다는 뜻.)4. 가는 날이 장날이다→ 우연히 한 행동이 뜻밖의 기회나 결과로 이어진다.(= 노력과 타이밍이 만나면 더 큰 효과가 있을 수도 있음.)5. 수고 끝에 낙이 온다→ 고생한 뒤에야 즐거움이 찾아온다.(= 노력의 결실을 강조.)6. 싼 게 비지떡→ 정성 없이 값싸게 처리한 일은 품질이 떨어진다.(= 노력과 품질은 비례한다는 의미.)7. 가는 정이 있어야 오는 정이 있다→ 성실하게 대.. 2025. 4. 14.
“부(富)와 재물”과 관련된 속담 1. 티끌 모아 태산→ 아주 작은 것도 계속 모이면 큰 것이 된다.(= 작은 돈도 아끼고 모으면 큰돈이 된다.)2.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 작은 비용이나 노력으로 해결할 일을 제때 하지 않아, 더 큰 손해를 본다.(= 초기에 조금만 신경 쓰면 되는 걸 방치하면 큰돈이 든다는 뜻.)3. 하늘에서 돈이 떨어지지 않는다→ 노력 없이 부를 얻을 수는 없다.(= 현실적인 태도 강조.)4. 있을 때 잘해라→ 있을 때 아끼고 잘 써야 후회하지 않는다.(= 돈이나 자원이 있을 때 함부로 쓰지 말고 잘 관리하라는 뜻.)5.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번 돈이라도, 쓸 때는 격식 있고 품위 있게 써야 한다.6. 금강산도 식후경→ 아무리 좋은 것도 경제적 여유(기본 생계)가 우선이다.. 2025. 4. 13.
9시 전에도 주식 거래된다고?! 이유는 이거! (+시간 외 거래, 장전 동시호가) 9시부터 주식 장이 열린다는것은 다 알고 있을텐데요.  어제 궁금해서 8시 40분쯤 앱을 켰는데, 주식거래가 이뤄지고 있더라고요. 어떻게 가능했던것일까요? 궁금해서 한번 내용을 찾아봤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정규 거래 시간이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인데, 그 전에 매매가 되는 걸 보면 좀 의아할 수 있죠.  이건 "시간 외 거래" 혹은 "장전 동시호가" 같은 제도 때문입니다. ⏰ 9시 전에 주식이 매매되는 이유 1. 📊 장전 동시호가 (08:30 ~ 09:00)9시 정규장이 시작되기 전, 08:30부터 주문을 접수해서 9시에 한 번에 체결하는 방식이에요.이 시간에는 매수/매도 주문을 계속 받을 수 있지만, 실제 체결은 9시에 일괄적으로 한 번만 이루어집니다.그래서 "예상 체결가"가 실.. 2025. 4.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