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83

라이벌과 트로이카의 어원은 무엇일까? 경쟁자 중에서도 나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라이벌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트로트하면 나훈아와 남진이 대표적인 라이벌 관계로 불리고 있고, 1세대 아이돌인 HOT와 젝스키스, SES와 핑클 등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야구계에서는 선동렬과 최동원이 라이벌 관계로 불립니다. 라이벌이라는 단어의 어원에서 나온 말일까요? 라이벌 서양에서는 강물을 'River'라고 말합니다. 이것은 '강가'를 뜻하는 라틴어 리파리아(riparia)에 어원을 두고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머무르기 좋은 땅을 가리키다가, 이후 '강물'을 뜻하게 되었고 '리부스(rivus)'를 거쳐서 '리버(River)'가 되었습니다. 가뭄이 들어 물이 귀해지면서, 물을 두고 다툼이 생겼습니다. 이때 강물을 경계로 마주보고 .. 2022. 8. 14.
장례식장에서 꽃을 바치는 헌화 관습의 유래 고대 사회 - 불교 신에게 바치는 꽃은 절대적 복종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였습니다. 불교에서 꽃은 영생 or 육체의 덧없음을 의미하는데, 부처는 꽃을 몹시 좋아했다고 알려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불교도들은 부처를 경배하기 위해서 꽃을 바치고, 부처의 제단에 항상 꽃병을 놓습니다. 일본의 풍습 일본인들은 매년 5월과 8월에 조상신에게 꽃을 바치는 풍습이 있습니다. 일본 사람들은 조상신이 꽃을 타고 귀신과 영혼이 내려온다고 믿고 있습니다. 장례식장에서 향기 나는 꽃을 사용하는 이유는? 고대 로마인들은 장례의식에서 헌화하는 풍습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여기서 꽃은 내세에도 계속되는 생명을 상징했습니다. 로마인들은 부활과 영원한 봄을 기원하면서, 영혼의 재생을 상징한다고 믿었던 장미를 묘지에 심었습니다. 오늘날 기독.. 2022. 8. 14.
일등병이 이등병보다 계급이 높은 이유는?(+군사계급) 대한민국의 남자라면, 군대를 다녀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궁금해할 것 중에 하나입니다. 이등병 일병 상병 병장 순인데, 왜 일병이 이등병보다 계급이 높은 걸까요? 군사 계급 먼저, 군사 계급은 위와 같습니다. 훈련병(신병)부터 병장까지는 '작대기'로 표시되는데, 이는 '땅'을 의미합니다. 하사관 계급 표시는 V자로 표시되는데 이는 '땅속의 나무뿌리 or 나무줄기'를 뜻합니다. 소위부터 대위까지는 다이아몬드로 표시됩니다. 이는 '땅속의 금속'을 상징합니다. 소령부터 대령까지 무궁화(영관) 계급 표시는 '땅 위의 꽃'을 상징합니다. 준장부터 원수까지는 스타(별)로 표시되는데, 장군이라고 부릅니다. 이 별은 하늘에 떠 있는 별을 가리킵니다. 일등병이 이등병보다 계급이 높은 이유는?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때, 작대기.. 2022. 8. 3.
돼지모양의 저금통이 많은 이유는? (PYGG vs PIG) 저금통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바로 돼지 모양의 저금통입니다. 아니, 사실 돼지 모양 이외의 것은 잘 생각이 나지 않습니다. 저금통에 돈을 모으는 문화는 언제부터였나? 옛날에는 필요한 물건이 있으면, 물물교환을 하는것이 보통이었습니다. 오히려 돈보다 가축이나 곡식을 대가로 받는 것이 흔했습니다. 옛날에 금속으로 만든 그릇은 귀족들이 자랑하기 위해 사용할 정도로 귀한것이었습니다. 귀족과는 달리 서민들은 진흙으로 만든 그릇을 사용했습니다. 이때 진흙을 'pygg'라고 불렀습니다. 중세시대에는 가구나 상자를 구하기 힘들었기 때문에, 돈을 그릇에 담아 보관하는 관습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그릇 저금통을 '피그'라고 불렀습니다. pygg vs pig 두 단어는 스펠링이 엄연히 다릅니다. 하지만 발음은 둘.. 2022. 7. 27.
더운물은 왼쪽, 찬물은 오른쪽에서 나오는 이유는? 수도는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관을 놓고, 끝에 꼭지를 달아 틀거나 잠글 수 있게 만든 장치를 말합니다. 이런 수도는 복잡한 수도관 배관 공사 기술이 있어야 설치가 가능합니다. 수도관은 언제 등장했을까? 우리나라는 20세기 초 광나루에 정수장을 마련하고 서울 도심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시작했습니다. 세계적으로 넓혀서 봤을 때, 다른 나라는 훨씬 빠릅니다. 특히 고대 이집트는 기원전 1,000년경에 집에 더운물과 찬물을 동시에 사용하는 수도관이 설치되었습니다. 수도꼭지의 찬물과 더운물의 위치는 왜 같을까?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수도꼭지는 똑같은 원칙에 의해 설치가 됩니다. 오른쪽은 찬물, 왼쪽은 더운물이 나오게 하는 것이지요. 물의 온도색도 마찬가지입니다. 냉수는 파란색, 온수는 빨간색입니다. 오른쪽이 찬물.. 2022. 7. 26.
세계 역사상 유명한 화산 폭발 사례 (폼페이. 탐보라 등) 1. 79년 이탈리아 베수비오 산 폼페이란 도시의 최후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다면, 그 이유가 베수비오 산의 화산 폭발 때문이라는 것도 알고 있을 것입니다. 베수비오산은 이탈리아의 항구도시인 나폴리 인근에 위치해 있습니다. 비교적 최근인 1944년 분출을 한 후 멈춰있습니다. 그래서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화산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베수비오 산의 화산 폭발로 인해서 로마 문명과 헬레니즘 문명이 재로 뒤덮여 버렸습니다. 당시 16,000여 명의 사람들이 화산 폭발로 인한 가스 때문에 질식해 죽었으며, 산 채로 화산재와 바위 더미에 뒤덮여 목숨을 잃었습니다. 1749년 폼페이 시가 발굴되었을 때, 도시의 유물과 사람들은 화산재에 덮인 채로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었습니다. 폼페이의 발굴 1592년 수로공.. 2022. 7. 24.
정비사업 주택공급 원칙 (재건축과 재개발) 재건축 - 비 과밀억제권 + 비 투기과열지구 → 보유 주택 수 만큼 - 비 과밀억제권 + 투기과열지구 → 1주택 - 과밀억제권 + 비 투기과열지구 → 3주택 - 과밀억제권 + 투기과열지구 → 1주택 - 종전 가격 범위 또는 종전 주거전용 범위 내 → 2주택(1+1) - 1주택은 전용 60㎡ 이내 - 소유권이전 다음날부터 3년 이내 전매금지 재개발 - 하나 이상의 주택 또는 토지를 소유하는 경우 1주택 공급이 원칙 - 종전 가격 범위 또는 종전 주거전용면적 범위 내 → 2주택(1+1) - 1주택은 전용 60㎡ 이내 - 소유권이전 다음날부터 3년 이내 전매금지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에 250만 가구를 공급해서 집값을 잡아보겠다고 공약을 밝힌바 있습니다. 당시 윤석열 대통령은 5년 동안 전국에 250.. 2022. 7. 22.
재개발 사업 진행 절차는 어떻게 될까? (+재개발 재건축 정비사업) 재개발 사업진행절차는 까다롭습니다. 하지만 한번 정리해두면, 어렵지 않게 과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재개발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당연히 절차를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재개발 사업 진행 절차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재개발 사업 진행 절차 1. 기본계획 수립 2.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 3. 추진위원회 구성 및 승인 4. 조합설립인가 5. 사업시행 작성 및 인가 6. 건축심의, 시공자 선정 7. 조합원 분양신청 8. 관리처분계획 작성 및 인가 9. 사업시행(이주 철거 착공) 10. 준공, 청산 1. 기본방침 및 기본계획 - 수립권자 : 특별시장, 광역시장,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 타당성 검토 : 10년 단위 + 5년마다 타당성 검토 시장 -> 도지사 승인 -> 14일 이상.. 2022. 7. 20.
용도지구와 용지구역 주택분류하기 1. 용도지구 - 경관지구 (자연, 시가지, 특화) - 보호지구 (역사문화환경, 중요시설물, 생태계) - 복합용도지구 - 개발진흥지구 (주거, 산업, 관광, 복합, 특정) - 고도지구 - 취락지구 (자연, 집단) - 방재지구 (시가지, 자연) - 방화지구 - 특정용도제한지구 2. 용도구역 - 개발제한구역 (국토교통부 장관, 이하 국장) - 도시자연공원구역 (시, 도지사, 대도시장) - 시가화조정구역 (시, 도지사, 국장) - 수산자원보호구역 (해장) - 입지규제최소구역 (부설주차장, 미술작품 설치 예외) 서울도시계획포털 : 용도지역·지구·구역 대분류 대분류 {{code.name}} 중분류 중분류 {{code.name}} 확인 용도지역 토지의 이용이나 건축물의 용도ㆍ건폐율ㆍ용적률ㆍ높이 등을 제한함으로써 토.. 2022. 7. 20.
부동산 관련 세금 간단 정리 (국세. 지방세) 과세의 주체에 따라, 즉 누가 세금을 징수하는가에 따라 중앙정부가 징수하는 국세와 지방자치단체가 징수하는 지방세로 나뉩니다. 국세 지방세 지방세 관련부가세 취득시 인지세 : 계약서 작성시 취득세 농어촌특별세(국세), 지방교육세 상속세 : 상속받은 경우 증여세 : 증여받은 경우 보유시 종합부동산세 : 일정 기준금액 초과시 재산세 지방교육세, 지역자원시설세 처분시 (매도할때) 양도소득세 지방소득세 X ※ 양도소득세와 지방소득세는 매도하는 과정에서 징수하는 세금입니다. 부동산 양도차익에 대해 부과하게 됩니다. 부동산 관련 세금은 시점에 따라서 3가지로 나뉩니다. 취득하는 과정 : 인지세, 상속세, 증여세 / 취득세 보유하는 동안 : 종합부동산세 / 재산세 매도하는 과정 : 양도소득세 / 지방소득세 : 매매계약.. 2022. 7.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