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세계 보건기구(WHO)가 선포하는 감염병 최고 경고 등급으로, 세계적으로 감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WHO는 감염병의 위험도에 따라 감염병 경보단계를 6단계까지 나누는데, 팬데믹은 최고 경고 등급인 6단계에 해당합니다. 팬데믹은 특정 질병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것으로, 이를 충족시키려면 전염병이 특정 권역 창궐을 넘어서 2개 대륙 이상으로 확산돼야 합니다.
엔데믹. 에피데믹. 팬데믹의 뜻은?
11월부터 위드 코로나 시대가 열렸습니다. 코로나19가 시작된 지 곧 있으면 2년이 되지만, 끝날 기미가 보이고 있지 않는데요. 작년에 언론에서 백신이 개발된다 하더라도 코로나19를 통제하기
goodfellas5.com
→ 엔데믹, 에피데믹, 팬데믹의 차이를 설명한 글입니다. 해당 글에 1 ~ 6단계에 대한 설명도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인류 역사상 팬데믹에 속한 질병은 14세기 중세 유럽을 거의 전멸시켰던 흑사병(페스트), 1918년 전 세계에서 5,00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스페인 독감, 1968년 100만 명이 사망한 홍콩 독감 등이 있습니다.
WHO가 1948년 설립된 이래 팬데믹을 선언한 경우는 1968년 홍콩독감과 2009년 신종플루, 2020년 코로나19 등 세 차례입니다.
지난 70년 동안 3번밖에 없었던 팬데믹을 경험하고 있는 현재입니다.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과거 페스트나 스페인 독감 사례를 봤을 때 전염병의 역사는 반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감염병 재난 위기경보 수준
<보건복지부>
구분 | 해외 신종감염증 | 국내 원인불명. 재출현 감염병 |
관심 (Blue) | 해외에서의 신종감염병 발생 및 유행 | 발생 |
주의 (Yellow) | 해외 신종감염병의 국내 유입 | 제한적 전파 |
경계 (Orange) | 국내 유입된 해외 신종감염병의 제한적 전파 | 지역사회 전파 |
심각 (Red) | 국내 유입된 해외 신종감염병의 지역사회 전파 또는 전국적 확산 | 전국적 확산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