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에도 경기 청년들의 자산형성 지원사업이 다시 돌아왔습니다. 바로 청년노동자통장입니다.
이 사업은 단순한 적금 상품이 아니라, 경기도가 직접 지원하는 재테크 제도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어요.
핵심 포인트는?
✔ 매달 10만 원 저축 → 2년 후 580만 8천 원 수령
✔ 근로 청년 자산 형성 + 금융 교육 + 복지 혜택까지
✔ 중위소득 120% 이하 청년 누구나 도전 가능
“2년간 240만 원을 넣으면 580만 원이 된다?”
이게 가능한 이유, 조건, 신청 방법을 지금부터 최대한 쉽고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 청년노동자통장 신청 기간 및 일정
- 신청 기간: 2025년 8월 1일(금) 오전 9시 ~ 8월 18일(월) 오후 6시
- 모집 인원: 총 3,000명
- 발표일: 2025년 10월 2일 예정
TIP: 신청 첫날과 마지막 날은 서버 폭주로 접속이 어려울 수 있으니, 중간 날짜에 여유 있게 신청하세요.
2. 지원 대상 조건 (꼭 확인하세요!)
나이 조건
- 만 19세~39세 (1985년생 ~ 2006년생)
- 군 복무 이행자는 최대 만 42세까지 연장 가능
거주 조건
- 주민등록상 경기도 거주자 (외국인 제외)
근로 조건
-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자영업자까지 근로 형태 제한 없음
- 휴직자 가능 (단, 국가근로장학생은 제외)
소득 조건
- 가구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 2025년 7월 건강보험 자격 확인
[중위소득 120% 예시]
- 1인 가구: 약 2,547,000원
- 2인 가구: 약 4,285,000원
- 3인 가구: 약 5,500,000원
(정확한 수치는 건강보험공단 자료 참조)
3. 얼마나 받을 수 있나? (혜택 분석)
청년노동자통장은 단순 적금이 아닙니다.
✔ 매월 본인 저축: 10만 원
✔ 경기도 지원금: 14만 2천 원
→ 총 24만 2천 원씩 적립
📌 2년 후 결과
- 본인 납입: 240만 원
- 도 지원금: 340만 8천 원 (현금 + 지역화폐)
- 최종 합계: 580만 8천 원
일반 적금으로는 불가능한 수준의 수익률입니다.
4. 어떤 혜택이 추가로 있나요?
- 금융·노무 상담 제공
- 재무 관리 교육
- 자기개발 프로그램 지원
단순히 돈만 모으는 게 아니라, 경제적 자립 역량까지 챙길 수 있는 제도예요.
5. 중복 참여 불가 사업 (꼭 체크!)
아래 제도에 참여 중이거나 최근 1년 내 해지한 경우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 서울시 희망두배청년통장
-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 경기도 청년연금
- 기타 국가·지자체 자산형성 지원사업
TIP: 신청 전, 본인이 참여 중인 사업이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
6. 신청 방법 & 절차
- 온라인 신청: 경기도 청년노동자통장 사이트
- 필요 서류 업로드
- 주민등록등본
- 근로 증빙서류 (근로계약서, 사업자등록증 등)
- 소득 증빙서류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 서류 심사 & 중복 확인
- 최종 선정 발표 (10월 2일)
7.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대학생도 신청 가능한가요?
→ 아르바이트나 근로소득이 있으면 가능해요.
Q2. 프리랜서도 신청되나요?
→ 사업자등록증 + 소득증빙이 있으면 신청 가능합니다.
Q3. 중간에 해지하면?
→ 경기도 지원금은 받을 수 없고, 본인 저축금만 반환됩니다.
8. 정리: 이런 분에게 추천합니다!
✔ 경기도 거주, 월 10만 원 저축 가능한 청년
✔ 안정적인 자산을 만들고 싶은 근로자
✔ 금융 교육과 자기개발 기회를 원하는 청년
결론 : 지금이 기회입니다!
청년노동자통장은 경기도에서 청년을 위해 만든 가장 확실한 자산형성 프로그램입니다.
“10만 원으로 580만 원 만들기”는 말 그대로 기회예요.
8월 18일까지 꼭 신청하고, 여러분의 미래를 더 튼튼하게 준비하세요!
📌 신청 바로가기: https://account.ggwf.or.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