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정부 첫 부동산 대책
6억 원 초과 대출 전면 금지! 무슨 일이?
✅ 핵심 요약
정부가 집값을 잡기 위해 6억 원 이상 대출을 금지하는 초강수 대책을 내놨습니다.
수도권 전 지역에서 집값과 상관없이 6억 원까지만 대출 가능하며, 투자 수요 차단 및 실수요 중심 재편이 목표입니다.
💥 주요 내용 한눈에 보기
1️⃣ 6억 원 이상 대출 금지
- 모든 소득·집값과 무관하게 수도권에서 6억 원 이상 주담대 금지
- 실거주 외 대출 거의 차단 → 갭투자 억제
- 전세보증 대출도 90% → 80% 축소
2️⃣ 내 상황은 어떻게 될까?
구분 | 변화 내용 |
무주택자 | 소득과 무관하게 6억 초과 대출 불가 |
1주택자 | 기존 주택 6개월 내 처분해야 새집 매수 가능 |
갭투자자 | 세입자 낀 집은 대출 불가 |
전세 임차인 | 보증비율 80%로 하향 → 자금부족 발생 가능 |
📉 효과는 있을까?
- “집값 잡는다”
→ 대출 총량이 줄면 매수 수요 꺾여 가격도 하락
- “못 잡는다”
→ 6~8억 단지로 수요 쏠림 가능, ‘똘똘한 한 채’ 선호 여전
🍼 신혼·청년 대출 축소
- 신생아 특례 대출
→ 5억 원 → 4억 원
- 신혼부부 디딤돌 대출
→ 4억 원 → 3억2000만 원
→ 정책적 혼선 발생 우려
🚫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는 없다?
- 서울시는 “추가 지정 계획 없다” 밝혀
- 다만 성동·마포구는 가격 급등 시 긴급 지정 가능성 있음
💔 결혼·출산 기피 이유 1위는 ‘주거비’
- 20·30대 “결혼 미룬 이유 1위 = 주거비 부족”
- 무자녀 여성 비중 3배 증가 (1970년생 vs 1980년생)
→ 주거비가 결혼·출산에 치명적 부담
🔎 이슈
🧨 청년안심주택에서 ‘전세사기’
- 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요건 못 맞춰
→ 134세대, 238억 원 피해 위기
🚨 전세사기 피해자 3만 명 돌파
- 70%가 20~30대
- 수법 1위: 무자본 갭투기, 보증금 돌려줄 능력 없음
- 수도권 피해 집중
🏘 반전세가 왜 늘어나나?
구분 | 설명 |
정의 | 보증금은 크고 월세는 낮은 형태 (보증부 월세) |
등장 | 2000년대 서울 다가구 시장에서 시작 |
현재 | 월세 거래 중 61%, 반전세 꾸준히 증가 중 |
이유 | 대출 제한, 고금리, 전세사기 우려 때문 |
유불리 | - 반전세: 목돈 있는 장기 거주자에 유리 - 월세: 목돈 없고 자주 이사할 사람에 적합 |
🔐 반전세가 전세보다 더 안전?
상대적으로 전세사기 위험 ↓
- 피해액 규모 작고
- 월세 기록 있어 실거주 입증에 유리
🏗 수도권·지방 개발 소식 요약
서울 주요 재개발·재건축
- 강북 미아동 1219가구 추진
- 서초 방배13구역 2228가구 재개발
- 용산 신동아 1903가구 재건축 추진
- 성동 금호벽산 리모델링 심의 통과
인프라·교통
- 경기 7호선 옥정~포천 연장 승인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검단 연장선 개통
지방 지원 정책
- 고창: 대출이자 200만 원 지원 (청년·신혼)
- 증평: 150만 원 지원
- 제주: 공공임대 월세 3만 원 지원
🌍 해외 부동산 트렌드
- 미국: 중간 주택값 42만2800달러 → 역대 최고치
- 중국: 신규 수요 급감, 고급 주택가 최대 5% 하락 예상
- 영국: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 대출 완화(LTV 95%)
- 일본: 수도권 단독주택 4개월 연속 상승
- 호주: 시드니 집값 2026년까지 16억 원 예상
📌 신조어
용어 | 의미 |
맘스스테이션 | 유치원 차량 픽업용 차 없는 안전구역 |
세대 창고 |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가정별 전용 보관 창고 |
📢 정리하자면
👉 6억 원 이상 대출 금지는 단순 규제 이상으로 주거 전략 자체를 바꾸는 시그널입니다.
이제는 현금 동원력·주거 계획 수립이 더 중요해졌습니다.
지금은 자금·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할 시점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