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럼버스가 아메리카를 처음 발견했다는 말, 이제는 바꿔야 할 때입니다.
이미 수천 년 동안 원주민들이 살아온 대륙을, 정말 ‘발견’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 콜럼버스는 정말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했을까?
1492년, 콜럼버스는 스페인의 후원을 받아 대서양을 건넜고, 카리브 해의 바하마 제도에 도착합니다.
이 사건은 오랫동안 ‘신대륙 발견’으로 불려왔지만, 이미 그곳에는 원주민들이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ex)
콜럼버스가 도착했을 당시, 아메리카 대륙에는 약 5,000만 명 이상의 원주민이 살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들은 자신만의 문명과 문화, 정치 체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발견’이라는 말은 이들의 존재를 무시하는 표현입니다.
🌍 유럽 중심 시각에서 벗어나기
‘발견’이라는 표현은 유럽인의 시각에서 나온 말입니다.
그 땅에서 이미 살아가고 있었던 사람들의 입장에서 보면, 콜럼버스는 침입자였을 수도 있습니다.
- 저자
- 안선모
- 출판
- 씽크하우스
- 출판일
- 2007.11.05
🔄 대체 가능한 표현들
- ❌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
- ✅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도착
- ✅ 유럽인의 신대륙 진입
- 저자
- 오유진
- 출판
- 한국슈바이처
- 출판일
- 2016.06.01
Q. 왜 아직도 ‘발견’이라는 표현을 쓸까?
그 이유는 단순합니다. 교과서와 미디어에서 반복되어 온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오늘날 많은 역사학자들과 교육기관에서는 이러한 표현을 점점 재고하고 수정하고 있습니다.
- 저자
- 피터 크리스프
- 출판
- 문학동네어린이
- 출판일
- 2005.03.30
📚 관련 FAQ
Q1. 콜럼버스가 발견한 건 맞는 거 아닌가요?
A. 유럽 입장에서 ‘처음’일 뿐이며, 이미 수천 년간 원주민이 존재했던 땅이기에 ‘발견’이란 표현은 부정확합니다.
Q2. 그럼 바이킹이 먼저 도착했단 말인가요?
A. 맞습니다. 리프 에릭손을 포함한 북유럽 바이킹들이 콜럼버스보다 500년 먼저 북미에 도착했다는 역사적 기록도 있습니다.
Q3. 왜 이 표현이 중요한가요?
A. 단어 하나가 역사 인식 전체를 바꿀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발견’은 무의식적으로 유럽 중심의 식민사관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결론 : 발견이 아닌 ‘침입’일 수도 있다.
콜럼버스는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한 첫 번째 유럽인이었을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발견’이 아닌 만남이며, 때로는 충돌이었습니다.
이제는 그 표현 하나도 다시 생각해야 할 때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