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그리고 GoodFellas/상식

물은 정말 100도에서 끓을까? 고도와 기압에 따라 달라지는 끓는점의 진실!

by 굿펠라스 2025. 5. 14.
반응형

💡 우리가 알고 있던 상식, 과연 맞을까?

물은 섭씨 100도에서 끓는다.

 

이 말, 초등학교 과학 시간에 배운 기억 나시죠?

 

하지만 이건 ‘표준기압(1기압)’ 기준일 때의 이야기입니다.

 

실제로는 고도기압에 따라 물의 끓는점은 달라집니다.

 

즉, 꼭 100도에서만 끓는 것은 아닙니다!

 


🏔 고도가 높아지면 물은 더 낮은 온도에서 끓는다?

네, 맞습니다!

  • 해발고도 0m (평지, 바닷가) → 약 100℃
  • 해발고도 2,000m (설악산 정상 근처) → 약 93℃
  • 해발고도 8,848m (에베레스트) → 약 70℃ 이하

이는 고도가 높을수록 기압이 낮아지고, 기압이 낮으면 물 분자가 쉽게 증발하기 때문이죠.

 

 


⛽ 반대로, 압력이 높아지면?

 

압력을 높이면 물의 끓는점은 높아집니다.

 

EX)

  • 압력밥솥에서는 물이 100도 이상에서도 끓습니다.
    덕분에 밥도 더 빨리, 더 잘 익죠!

🍳 실생활 예시가 궁금하다면?

 

  • 산에서 라면 끓일 때 → 100도 미만에서 끓기 때문에 면이 덜 익는 느낌이 들 수 있어요.

 

  • 비행기 안에서 물을 끓이면? → 고도 약 10,000m에서는 약 70~80도에서 끓는 경우도 있어요!

 

상황 끓는점 변화
기압 ↓ (고지대) 끓는점 ↓
기압 ↑ (압력솥) 끓는점 ↑
 

즉, “물은 100도에서 끓는다”는 절반만 맞는 말! 정확히는 “물은 1기압에서 100도에 끓는다”가 더 맞는 표현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