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띄어쓰기 예시 중 몇가지를 추려서 정리해봤습니다.
1. 조사:
조사는 앞말에 붙여 씁니다.
예시:
집에 갑니다. (O)
집 에 갑니다. (X)
학교에서 공부합니다. (O)
학교 에서 공부합니다. (X)
책을 읽습니다. (O)
책 을 읽습니다. (X)
2. 의존 명사:
의존 명사는 앞말과 띄어 씁니다.
예시:
할 수 있다. (O)
할수 있다. (X)
먹을 것이 없다. (O)
먹을것이 없다. (X)
아는 척 한다. (O)
아는척 한다. (X)
3. 단위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앞말과 띄어 씁니다.
예시:
사과 한 개 (O)
사과 한개 (X)
책 두 권 (O)
책 두권 (X)
열 살 (O)
열살 (X)
다만, 수를 적을 때 붙여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 십오 년, 삼십 명)
4. 복합어:
두 개 이상의 단어가 합쳐져 만들어진 복합어는 붙여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띄어 쓰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시:
돌아보다 (O)
돌아 보다 (허용)
뛰어놀다 (O)
뛰어 놀다 (허용)
5. '만큼', '대로' 등:
조사로 쓰일 때는 붙여 쓰고, 의존 명사로 쓰일 때는 띄어 씁니다.
예시:
너만큼 예쁘다. (조사, 붙여 씀)
노력한 만큼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의존 명사, 띄어 씀)
법대로 해라. (조사, 붙여 씀)
들은 대로 말했다. (의존 명사, 띄어 씀)
6. '같이'
부사나 조사로 쓰일 때는 붙여 쓰고, 명사로 쓰일 때는 띄어 씁니다.
예시:
함께 같이 갑시다. (부사, 붙여 씀)
너 같이 착한 사람은 없을 거야. (조사, 붙여 씀)
친구와 같이 영화를 봤다. (명사, 띄어 씀)
7. '안', '못'
부정 부사로 쓰일 때는 띄어 쓰고, 동사의 일부로 쓰일 때는 붙여 씁니다.
예시:
안 먹는다. (부정 부사, 띄어 씀)
못 한다. (부정 부사, 띄어 씀)
안되다. (동사, 붙여 씀)
못하다. (동사, 붙여 씀)
이 외에도 띄어쓰기는 예외가 많고 복잡한 부분이 많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