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원들에게 월급(급여)을 주는 과정은 회사의 규모나 시스템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인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회계팀이나 인사팀이 담당하며, 정확하고 법적으로 문제없이 처리하는 게 매우 중요하죠.
1. 급여 정보 정리
매월 말일이나 정해진 급여일 전에 다음 항목들을 정리합니다.
- 기본급
- 수당 (식대, 교통비, 직책수당 등)
- 초과근무 수당 (야근, 주말근무 등)
- 성과급이나 인센티브 (해당되는 경우)
- 상여금 (보너스 등)
2. 공제 항목 계산
법적으로 공제해야 할 금액들을 계산합니다.
- 4대 보험
- 국민연금
-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 고용보험
- 산재보험 (보통 회사 100% 부담, 직원 급여에서 공제는 안 함)
-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 연말정산 또는 월급 기준으로 원천징수
3. 실지급액 계산
실수령액 = (기본급 + 수당 등) - (공제 항목 합계)
이 계산을 마친 뒤, 직원별로 월급 명세서를 만들어서 확인합니다.
4. 급여 지급 승인
- 대표이사나 최고재무책임자(CFO)의 승인 필요 (회사에 따라 다름)
- 승인되면 계좌 이체 준비 시작
5. 지급 실행
보통은 인터넷 뱅킹 기업용 시스템을 이용해서 다음 작업 진행합니다.
- 급여 이체파일(CSV 또는 엑셀 형태)을 은행 시스템에 업로드
- 각 직원 계좌로 이체
- 일부 기업은 급여 전용 계좌(통장)를 따로 운영하기도 합니다.
6. 급여명세서 전달
- 이메일, 사내 인트라넷, HR 시스템 등을 통해 개별 직원에게 전달
- 명세서에는 세전/세후 금액, 공제 내역, 근무 일수 등이 포함
7. 회계 처리 및 세무 신고
- 급여는 비용으로 회계 처리됨 (급여, 복리후생비 등 항목으로 분류)
- 4대 보험료 및 원천징수 세금은 일정 기간 내에 공단/세무서에 신고 및 납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