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그리고 GoodFellas/상식

나라마다 다른 비상깜빡이의 의미, 언제 켜야하는 걸까?

by 굿펠라스 2025. 3. 19.
반응형

비상등은 도로에서 긴급 상황을 알리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잠시 정차하거나, 차가 고장 났을 때, 혹은 양보해 준 뒤차에 감사를 표할 때 활용되곤 합니다. 

 

하지만, 나라마다 비상등의 사용법과 의미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외국에서 운전을 할 때는 그 나라에서 비상깜빡이 켜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확인한 후 사용해야, 괜한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차량의 위험을 알리거나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되는 비상깜빡이.

 

주요 국가별 의미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대한민국

긴급 정지, 위험 경고

  • 고속도로 등에서 차량이 갑자기 멈출 때 뒤 차량에 경고
  • 터널이나 급정거 상황에서 후방 차량에 주의 요청

감사의 표현

  • 차선 변경 후 양보해준 차량에게 감사 인사

교통 체증 경고

  • 고속도로에서 급정거나 정체 상황이 발생하면 뒤 차량에 주의 알림

기타

  • 좁은 골목에서 다른 차량이 기다려줄 때 감사 표시

2. 미국

위험한 상황 경고

  • 차량 고장, 사고 등으로 정차 시 다른 운전자에게 위험 알림

🚫 주행 중 사용 금지

  • 일반적으로 주행 중 비상등 사용은 금지 (일부 주에서는 합법)

긴급 차량 우선 이동 요청

  • 경찰차, 구급차 등이 올 때 주변 차량이 양보하기 위해 켜기도 함

3. 일본

감사의 표시

  • 차선 변경 시 뒤 차량이 양보해 주면 짧게 비상등을 켜서 감사 인사

정체, 급정거 경고

  • 고속도로에서 정체 상황 발생 시 뒤 차량에 미리 경고

차량 고장·사고 시 경고

  • 도로 한쪽에 정차할 때 비상등을 켜서 알림

4. 독일

고속도로 정체 경고

  • 아우토반 등에서 급정거가 예상될 때 뒤 차량에 경고

긴급 상황 시 정차 표시

  • 차량 고장, 사고 시 도로 한쪽에 정차하고 비상등 켜기 필수

🚫 주행 중 사용 금지 (특수 상황 제외)

  • 일반 도로에서 주행 중 비상등 사용은 제한됨

5. 프랑스

급정거 또는 위험 상황 경고

  • 고속도로에서 정체가 예상될 때 뒤 차량에 경고

감사의 표현 (일부 운전자만 사용)

  • 차선 변경 시 감사 인사로 짧게 점멸

🚫 주행 중 남용 금지

  • 불필요한 사용은 법적으로 제한됨

6. 영국

긴급 정차 시 위험 경고

  • 고장, 사고 시 도로 한쪽에 정차하고 비상등 켜기

감사의 표현 (일부 운전자만 사용)

  • 차선 변경 시 양보해준 차량에 감사 표시로 짧게 깜빡이 켜기

🚫 주행 중 장시간 사용 금지

  • 위험이 없는 상황에서 비상등을 켜는 것은 법적으로 제한될 수 있음

정리해 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나라 긴급 정차 정체 경고 감사 표시 기타
대한민국 골목길 등
미국 ❌(일반적 아님) 긴급 차량 양보
일본 -
독일 주행 중 사용 제한
프랑스 ✅(일부) -
영국 ✅(일부) -

 

대부분 나라에서 긴급 정차교통 체증 경고 용도로 비상깜빡이를 사용합니다.

 

우리나라일본에서는 감사 표시로도 자주 활용됩니다!

반응형

댓글